Surprise Me!

[출근길 인터뷰] 하루 새 늘어난 확진자…지역사회 감염전망은?

2020-02-19 2 Dailymotion

[출근길 인터뷰] 하루 새 늘어난 확진자…지역사회 감염전망은?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줄어드나 싶던 코로나19 확진자가 하루 사이 크게 늘었습니다.<br /><br />특정 장소에서의 집단 감염, 그러니까 '슈퍼 전파'도 처음으로 확인됐는데요.<br /><br />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김정기 고려대학교 약학과 교수를 만나 코로나19, 지금까지의 상황에 대해 이야기 나눠본다고 합니다.<br /><br />현장에 나가 있는 박진형 기자 나와 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 오늘은 김정기 교수와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 안녕하십니까?<br /><br />[김정기 / 고려대학교 약학과 교수]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하루 사이에 20명이 넘는 확진자가 발생했습니다. 갑작스러운 증가라고 볼 수 있는데 현재 상황은 어떻습니까?<br /><br />[김정기 / 고려대학교 약학과 교수]<br /><br />어제 갑작스레 집단감염이 일어나면서 확진자 수가 크게 증가를 했거든요. 어떻게 보면 본격적인 지역사회 감염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. 지역사회 감염은 이전에도 사례가 있었습니다. 계속 발생은 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감염원을 알 수 없는 집단 감염이 발생을 하게 되면 이제부터는 본격적인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됐다, 이렇게 보는 게 맞겠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아무래도 31번 확진자 때문에 그런 얘기가 나오는데 슈퍼전파 그리고 슈퍼전파자 2개의 차이는 어떤 겁니까?<br /><br />[김정기 / 고려대학교 약학과 교수]<br /><br />슈퍼전파를 일으키는 사람을 슈퍼전파자라고 얘기를 하는데 슈퍼전파라고 하는 개념은 실제로 WHO에서 2003년 사스 때 처음 등장했던 용어이고요. 아직까지 정확한 개념은 정립돼 있지 않습니다. 그런데 어떤 질병이 특정 사람에 의해서 다수의 사람을 감염시킬 때 우리가 슈퍼전파다, 이렇게 얘기를 하고 그 슈퍼전파는 하나의 사건 또는 이벤트를 얘기하고 그거를 매개한 사람을 우리가 슈퍼전파자다 이렇게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31번 확진자 같은 경우에 슈퍼전파 또 전파자, 어떤 상황인지는 잘 모르는 상태라고 하기 때문에 문제는 경로를 확인하기가 좀 더 어려울 것 같기는 합니다.<br /><br />[김정기 / 고려대학교 약학과 교수]<br /><br />지금 뭐 31번 환자가 어디서 감염이 됐는지 그리고 이분이 어떻게 접촉한 분들을 어떤 경로로 지금 전파를 시켰는지 현재 역학조사 진행 중인데요. 이 31번 환자가 실제로 이번 슈퍼전파의 이벤트 속의 한 분이었는지 아니면 슈퍼전파를 일으키신 분이었는지 이거는 전후관계를 좀 조사를 해 봐야 되는데 조사를 해도 제가 보기에는 이렇다 할 결론을 내리기는 상당히 어려운 부분이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렇게 지역사회 전파 가능성이 커지면서 일반 시민들 입장에서 그러면 어떻게 대비를 해야 되느냐 여기에 대한 좀 궁금증이 있습니다.<br /><br />[김정기 / 고려대학교 약학과 교수]<br /><br />일반 시민들 같은 경우에는 여러 전문가분들이 말씀하시는 것처럼 감염병 예방 수칙을 준수하고요. 그러니까 가령 마스크를 잘 착용을 한다든가 손 씻기를 잘한다든지 이런 기타 등등의 수칙을 준수를 하시고 가능하시면 본격적인 지역사회 감염이 시작이 됐을 때에는 다중이 모이는 시설에서의 어떤 집회나 모임 같은 거를 가급적 안 하시는 게 좀 바람직하지 않을까 생각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끝으로 한 가지만 더 질문드리면 이번에 11살 학생이 감염된 것으로 나오는데 그동안 보면 어린 학생들에게는 감염이 잘 안 될 것이다 예측이 있었거든요. 이것이 바뀔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드시는지.<br /><br />[김정기 / 고려대학교 약학과 교수]<br /><br />아직까지는 이 데이터가 중국이라든가 아니면 기타 지역에서 영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감염사례가 상대적으로 성인보다는 적다라고 해서 나오는 얘기인데 이게 어떠한 요인에 의해서 어린아이들이 잘 감염이 안 되는지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습니다. 물론 생물학적인 부분이 원인일 수도 있겠고요. 이 부분은 추후에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고 또 하나는 어린아이들이 성인보다는 대중하고 접촉할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그래서 감염이 안 되는 건지, 이거는 확실히 모릅니다. 다만 실제로 중국도 그렇고 우리나라 이번 케이스도 그렇고 어린이가 감염되는 케이스가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은 비교적 조심을 하는 게 좋겠다 이런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한 가지만 더 질문을 드리겠습니다. 한 가지는 과거처럼 이 독감으로 편입된 여러 바이러스처럼 이것도 변화할 수 있다, 즉 코로나19 역시도 독감으로 편입된다 이런 얘기가 있는데 이거는 어떤 얘기입니까?<br /><br />[김정기 / 고려대학교 약학과 교수]<br /><br />독감은 인플루엔자가 일으키는 거고 제가 보기에는 코로나바이러스 자체가 감기 바이러스 중 하나거든요. 그렇기 때문에 코로나19가 향후에 이 현재의 사태가 종식이 되면 과거 사스처럼 사그라드는 게 아니라 이게 하나의 계절성 감기바이러스의 하나로 편입이 되면서 매년 우리한테 겨울철마다 찾아와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오늘 바쁘신 데 함께해주셔서 고맙습니다.<br /><br />[김정기 / 고려대학교 약학과 교수]<br /><br />감사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지금까지 박진형의 출근길 인터뷰였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